본문으로 건너뛰기

셀프 커스터디 개요

비트코인 구입 방법

DCA 전제

비트코인을 선물 또는 현물로 사고팔고를 반복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장기적으로 꾸준하게 구입해야 하는 축적을 위한 자산이라고 생각하고 적립식 매수(DCA, Dollar Cost Average)를 추천합니다. DCA 후 개인 지갑으로 보내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수수료를 저렴하게 보내기 위한 몇 가지 케이스를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비트코인을 구입하여 내 지갑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해외 거래소를 거쳐야 합니다. 트래블룰 때문에 국내 거래소에서 개인 지갑으로 보낼 수가 없습니다. 트래블룰에 따라야 하는 것은 경우의 수가 아니므로 DCA를 할 때에는 100만원 미만으로 구입하느냐, 100만원 이상으로 구입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해외 거래소(바이낸스, 크라켄 등)에 회원가입 후 신원인증(KYC)를 해 놓아야 합니다. 이 부분은 따로 정리하지 않겠습니다. 각자 정보를 찾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국내 거래소에 해외 거래소 입금 주소를 사전에 등록하여 승인 받아 놓아야 합니다.

저는 100만원을 기준으로 방법만 정리하니 최종 선택은 각자 수수료를 감안하여 스스로 Verify하고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100만원 미만 DCA

  • 100만원 미만은 트래블룰에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해외 거래소의 선택지가 많아 집니다.

  • 수수료가 가장 저렴하다고 알려져 있기에 비코이너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국내 거래소 > 해외 거래소(바이낸스, 크라켄 등)
    • 국내 거래소에서 해외 거래소로 보낼 때에는 전송용 코인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송용 코인으로 자주 사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트론(TRON)
      • 리플(XRP)
      • 이오스(EOS)
      • 테더(USDT)
    • 저는 전송 수수료 무료인 이오스(EOS)를 사용합니다.
  • 국내 거래소에서 해외 거래소까지 이동시키는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국내 거래소에 원화 입금
    • 입금 후 24시간 대기
    • 입금된 원화로 전송용 코인 구입
    • 해외 거래소의 전송용 코인 입금주소로 전송
    • 해외 거래소에 전송용 코인 입금 완료되면 BTC로 변환
    • 바로 변환을 사용하면 수수료가 조금 더 들고, 전송용 코인을 USD로 팔고, USD로 BTC를 사면 수수료가 조금 적게 들어갑니다.
    • BTC 구입(또는 변환) 후 개인 지갑 비트코인 주소로 전송
  • 해외 거래소에서 비트코인 온체인으로 바로 보내지 않고 라이트닝 네트워크(Lightning Network)를 사용하여 라이트닝 지갑으로 보낸 후 라이트닝 지갑에서 자신의 지갑으로 보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 라이트닝을 사용하여 출금 수수료가 저렴합니다.
    • 이때 라이트닝 지갑에서 출금 수량에 해당하는 청구소(인보이스)를 만든 후 크라켄 라이트닝 출금 시 입력해야 합니다.
    • 사전에 라이트닝을 지원하는 지갑을 만들고 사용법을 익혀 놓아야 합니다.

100만원 이상 DCA

  • 100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트래블룰에 따라 국내 거래소와 상호협정이 되어 있는 해외 거래소만 사용해야 합니다. 바이낸스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 국내 거래소에서 바이낸스까지 이동시키는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국내 거래소에 원화 입금
  • 입금 후 24시간 대기
  • 입금된 원화로 전송용 코인 구입
    • 만약 1 BTC 이상 한번에 전송하려면 전송용 코인으로 보내지 않고 직접 BTC로 보내도 됩니다.
  • 바이낸스의 전송용 코인 입금주소로 전송
  • 바이낸스에 전송용 코인 입금 완료되면 BTC로 변환
  • 바로 변환을 사용하면 수수료가 조금 더 들고, 전송용 코인을 USD로 팔고, USD로 BTC를 사면 수수료가 조금 적게 들어갑니다.
  • BTC 구입(또는 변환) 후 개인 지갑 비트코인 주소로 전송
  • 바이낸스에서 온체인 또는 라이트닝을 사용하여 지갑을 전송합니다.

정보
  • 100만원 이하로 전송해도 너무 빈도가 잦으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하니 적절하게 기준을 잡아 진행하세요.
  • 100만원 이상을 해외 거래소로 보낼 때 국내 거래소에서 자금을 묶고 증빙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위에 정리한 내용은 개인적인 경험에 근거한 것이라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개인적으로 검증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p2p 사용

텔레그램 봇을 활용하여 P2P 방식으로 비트코인을 구매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P2P Helper란?

    • 텔레그램 봇 형태로 작동하는 P2P 거래 플랫폼.
    • 사용자들은 비트코인을 구매하거나 판매할 수 있음.
    • 푸시블릿(Pushbullet) 앱을 통해 자동 송금 확인 기능을 지원(안드로이드 전용).
  2. 구매 방법

    • 텔레그램에서 @P2P_BTC_Bot 봇과 대화 시작.
    • 기본 명령어를 통해 거래 진행:
      • /list: 현재 판매자 목록 확인.
      • /buy 판매자이름 금액: 원하는 판매자에게 지정 금액으로 구매 요청.
    • 거래 세부 정보:
      • 판매자 이름, 프리미엄(수수료), 라이트닝 네트워크 잔액, 구매 가능 금액 등 제공.
    • 거래 생성 후 판매자 계좌로 송금:
      • 실명 계좌가 노출되며, 송금 시 지정된 입금자명을 사용.
      • 송금이 확인되면 라이트닝 지갑으로 비트코인이 자동 전송.
  3. 구매 준비

    • 구매 전에 라이트닝 네트워크 지갑 주소를 New Buyer 명령어로 등록.
    • 등록된 지갑 주소는 봇이 기억하여 반복 거래 시 편리.
  4. 판매 방법

    • 판매자는 별도 설정 필요:
      • 판매자 정보 등록, API 키 입력, 푸시블릿 앱 연결 등.
    • 현재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만 판매 기능 이용 가능.
  5. 장점 및 유의점

    • 장점: 텔레그램 내에서 거래가 가능해 편리하고, 익명 송금 방식으로 보안 강화.
    • 유의점:
      • 판매자와 직접 대화 및 거래 확인 필수.
      • 푸시블릿 앱 종료 시 자동 송금 확인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음.
      • 아이폰은 판매 기능 미지원.
  6. P2P Helper의 배경

    • 이전에 LMP2P 플랫폼을 운영하던 개발자가 제작.
    • 기존 플랫폼보다 개선된 자동화 기능 제공.
    • 현재 베타 버전으로 운영 중이며, 정식 출시 예정.

이 텔레그램 봇을 활용한 P2P 거래는 비트코인 소액 거래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며, 간편한 방식을 제공합니다. 초보자라도 매뉴얼과 명령어를 참고하면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경고

p2p 거래는 거래 상대방을 믿어야 합니다. 거래 상대방 리스크가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거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