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노드와 지갑 연동
풀노드와 지갑의 연동은 에어갭 트랜잭션을 위해 필요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블루월렛과 애플 제품 사용자를 위한 풀리노디드에 풀노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블루월렛 사용
1. 기본 개요
엄브렐 풀노드와 블루월렛을 연동하려면 먼저 엄브렐 풀노드의 비트코인 노드와 일렉트라 서버가 완전히 동기화되어야 합니다. 동기화가 완료되면 일렉트라 서버에서 제공하는 토르(Tor) 주소를 이용해 블루월렛을 연결합니다. 이 과정에서 토르 네트워크에 접속을 위해 오르보트(Orbot) 앱을 활용합니다.
2. 사전 준비
- 엄브렐 풀노드 동기화
- 비트코인 노드가 100% 동기화되어야 합니다.
- 동기화 상태는 "Synchronized 100%" 메시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일렉트라 서버 동기화
- 비트코인 노드와 100% 동기화되어야 합니다.
- 동기화가 완료되면 일렉트라 서버의 토르 탭에서 QR 코드와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폰 앱 설치
- 블루월렛(BlueWallet): 비트코인 지갑 앱으로 와치온리 모드 사용을 권장합니다.
- 오르보트(Orbot): 토르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VPN 앱입니다.
3. 구체적인 절차
-
오르보트 앱 설정
- 오르보트 앱을 설치 후 실행합니다.
- 앱 설정에서 블루월렛을 토르 네트워크를 사용할 앱으로 등록합니다.
- 오르보트 시작 버튼을 눌러 토르 네트워크에 연결합니다. 연결 상태는 스마트폰 상단의 "VPN" 표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블루월렛 초기 설정
- 블루월렛을 실행한 후, 와치온리 모드의 지갑을 생성합니다.
- 상단 메뉴에서 "설정(Settings)" > "네트워크(Network)"를 선택합니다.
-
블루월렛에서 토르 연결
- 블루월렛 내장 토르 옵션을 비활성화(disable)합니다.
- "일렉트럼 서버(Electrum Server)" 메뉴로 이동합니다.
- 일렉트라 서버의 토르 주소와 포트 번호(기본값: 50001)를 입력합니다.
- QR 코드를 스캔하거나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
설정 저장 및 동기화 확인
- 설정 저장 후 블루월렛을 종료하고 다시 실행합니다.
- 블루월렛이 오르보트를 통해 토르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일렉트라 서버와 동기화가 진행됩니다.
- 동기화 후 지갑의 잔액과 트랜잭션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동기화 완료 후 주의사항
- 블루월렛 사용이 끝난 후에는 오르보트 앱에서 VPN 연결을 종료해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이고 보안을 강화합니다.
- 개인 키는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하드월렛이나 콜드 스토리지에 안전하게 보관합니다.
이 과정을 완료하면 엄브렐 풀노드와 블루월렛이 성공적으로 연동되어, 블록체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트코인 트랜잭션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풀리노디드 사용
1. 개요
풀리노디드(Fully Noded)는 비트코인 풀노드와 직접 연결하여 와치온리 지갑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iOS 기반의 비트코인 지갑 애플리케이션입니다. 하드월렛에서 공개키를 내보내 와치온리 지갑을 생성할 수 있으며, 풀노드를 보유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개인적인 환경에서 비트코인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준비 사항
- 비트코인 풀노드
- 비트코인 코어(Bitcoin Core)가 100% 동기화된 풀노드가 필요합니다.
- Fully Noded는 일렉트럼 서버 대신 비트코인 코어와 직접 연결됩니다.
- 하드월렛과 스패로우 월렛(Sparrow Wallet)
- 하드월렛에서 공개키를 내보내고 이를 스패로우 월렛을 통해 디스크립터(Descriptor) 형식으로 변환해야 합니 다.
- 디스크립터는 Fully Noded에서 와치온리 지갑을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 iOS 기기
- Fully Noded 앱이 설치된 아이폰 또는 아이패드.
3. 절차
(1) 1단계: 비트코인 풀노드 연결
-
풀노드 QR 코드 생성
- 비트코인 코어의 설정 메뉴에서
RPC 토르(Tor)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 비트코인 코어가 토르 네트워크를 통해 Fully Noded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 비트코인 코어의 QR 코드를 생성하거나 수동으로 접속 정보를 입력합니다.
- 비트코인 코어의 설정 메뉴에서
-
Fully Noded에서 풀노드 연결
- 앱을 실행한 뒤, 설정(Settings) 메뉴에서 "노드 매니저(Node Manager)"를 선택합니다.
- QR 코드를 스캔하거나 노드 정보를 입력하여 비트코인 코어와 연결합니다.
-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동기화가 완료된 풀노드 정보가 표시됩니다.
(2) 2단계: 스패로우 월렛에서 디스크립터 생성
-
하드월렛에서 공개키 내보내기
- 하드월렛의 니모닉 키로 생성된 지갑에서 공개키를 내보냅니다.
- Xpub, Zpub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으로 내보내기가 가능합니다.
-
스패로우 월렛에 공개키 가져오기
- 스패로우 월렛에서 공개키를 입력하여 와치온리 지갑을 생성합니다.
- 스패로우 월렛의 "스크립트 정책(Script Policy)"에서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생성합니다.
-
디스크립터 QR 코드 생성
- 스패로우 월렛에서 디스크립터를 QR 코드로 변환합니다.
- Fully Noded는 디스크립터 형식을 지원하므로 이를 활용하여 와치온리 지갑을 가져옵니다.
(3) 3단계: Fully Noded에서 와치온리 지갑 생성
-
디스크립터 임포트
- Fully Noded 앱에서 "지갑 관리(Wallet Manager)" 메뉴를 선택합니다.
- QR 코드 스캔 기능을 통해 스패로우 월렛에서 생성한 디스크립터를 불러옵니다.
- 디스크립터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며, 와치온리 지갑이 생성됩니다.
-
지갑 정보 확인
- 생성된 와치온리 지갑의 주소 체계(Address Scheme)가 하드월렛과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 테스트 트랜잭션을 통해 지갑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증합니다.
4. 활용 팁
- 와치온리 지갑의 안전성
와치온리 지갑은 개인키를 포함하지 않아 온라인 환경에서 안전하게 잔액과 트랜잭션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트랜잭션 생성과 서명
Fully Noded를 통해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하드월렛에서 서명한 뒤 방송할 수 있습니다. 에어갭 트랜잭션(Air-gapped Transaction) 방식을 활용하면 보안이 더욱 강화됩니다. - 유지보수
Fully Noded는 풀노드와 연결되므로, 비트코인 코어와 앱 간의 동기화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하드월렛, 스패로우 월렛, Fully Noded를 조합하여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와치온리 지갑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iOS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비트코인 풀노드를 활용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매우 적합한 옵션입니다.